순종과 불순종 현장실습 보기
본문 바로가기
영혼육건강

순종과 불순종 현장실습 보기

by 영혼육 건강 2024. 4. 12.
반응형

순종과 불순종은 그 결과가 엄청나기 때문에 이벤트를 열기도 하고 불순종하여 그 아픔을 오래가도록 하고 오래 기억하게끔 한다는 것입니다.

 

 

불순종하기는 쉬운데 순종 한다는것은 쉽지 않습니다. 완전 몸과 마음에 각인할 수 있도록 실습과 불순종의 아픔을 기억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기에 끝까지 보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에발산과 그리심산

 

순종과 저주 오늘은 모세가 가나안땅 정복을 앞두고 출애굽2세들에게 이벤트를 열었습니다. 오늘 새벽예배 본문 신 27:1~26입니다. 본문에 에발산과 그리심산이 나옵니다.

 

에발산은 나무가 없는 민둥산 돌산이고 그리심산은 나무가 많아 풍성해 보입니다. 그래서 에발산은 불순종 할때 하나님의 저주를 상징하고 그리심산은 순종으로 오는 하나님의 축복을 대변합니다.

 

이스라엘백성들이 어느 편에 서느냐에 따라서 저주를 받고 축복을 받는다는 것을 오늘 모세는 실습을 하게 된 것입니다. 12지파 반을 나누어 한쪽은 에발산에 서게 하고 다른 한쪽은 그리심산에 서게 하여 서로 외치게 하였습니다.

 

순종하기 위해 뼛속까지 심기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면 그리심산같이 축복을 받을 것이고 불순종하면 에발산같이 하나님의 저주를 받는다는 것을 시청각 교육으로 실재 실습함으로 오래 기억되게 하고 말씀이 뼛속까지 들어가기 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리고성과 아이성

 

실제로 이스라엘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땅으로 들어가 첫 관문인 난공불락 여리고성을 순전히 하나님 말씀대로 순종하여 무너지게 한 것 우리는 너무 알고 있습니다.

 

근데 다음 관문 아이성은 여고리성에 비해 아주 작은 성인데 이스라엘백성들은 하나님께 묻지도 않고 올라가 싸우다가 보기 좋게 패한 사실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호수아는 언약궤를 맨 레위인과 많은 백성들을 회개하는 차원에서 에발산과 그리심산에서 행한 모세의 실습을 기억하면서 다시 재현합니다(수 8:33) 하나님 우리가 불순종했습니다.

 

불쌍히 여겨 달라고 엄청난 회개를 합니다. 그러고 나서 아이성을 순종함으로 그 성을 정복했다는 사실을 성경은 말하고 있습니다. 순종과 불순종의 말씀 다시 한번 마음에 새겨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