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수그리스도3 꿈 깨 꿈 깨 두 마음을 품고 너무 지나친 것을 바라거나 가지고 싶을 때 꿈 깨, 꿈 깨셔하는 소리를 듣는데 지금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아니, 우리 자신이 아닌지 돌아 봅니다. 새벽예배를 인도하시는 목사님께서는 이것을 착각이라 하셨는데 꿈 깨와 착각이 동의어이네요. 오늘 새벽예배 본문은 아모스 5:18~27입니다. 오늘 본문 화 있을진저 을 사모하는 자여(18절) 시작하는데요. 여호와의 날을 사모하는 자인데 왜 화가 있다고 그럴까요? 여호와의 날은 구약 선지서의 주요 사상 가운데 하나인 종말론 같은 사상입니다. 이 날은 하나님께서 이방과 악의 세력을 심판하시는 날로서 이스라엘에게는 기쁨과 희망의 날입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들은 우상숭배로 타락으로 부패 그 자체였습니다. 그 가운데 여호와의 날.. 2024. 12. 10. 전에와 이제 전에는 예수님 믿기 전에는 어리석은 자, 순종하지 아니한 자 , 속은 자, 정욕과 행락에 종노릇한자, 악독과 투기를 일삼은 자, 가증스러운 자 피차 미워한 자 (딛3:3)였습니다. 전에는 내 마음대로 결정하고 행하였던 자였습니다. 이러한 자로서 갑자스러운 사고나 병으로 나이 많아 죽으면 어디로 가나요? 아 네~ 그렇치요 다 지옥에 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사 구원의 길을 만들어 놓으셨는데 우리가 착한 일 의로운 행위로 해서 그 길로 들어선 것 아니라 오직 그분의 긍휼 하심(사랑, 자비)으로 중생 곧 거듭난 것 다시 태어난 것입니다. 이것이 머리로 지식으로 깨달아 알아 지는 것이 아니라 성령이 새롭게 하심으로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우리 구주 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성령.. 2023. 7. 4. 살아있는 거룩한 산 제사(예배) 거룩한 삶 세상가운데 거룩한 삶을 산다는 것은 어떤 삶을 사는 것일까요? 로마서 12장에 잘 표현되어 있네요. 오늘 새벽예배 말씀은 롬 12:1~3입니다 1절 그러므로 접속사가 나오는데 이것은 잘 알다시피 앞에 원인을 말하고 그러므로 하면서 결과를 결론을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사는 예배는 나는 십자가에서 예수님과 함께 죽고 세례를 통하여 예수님함께 사는 것을 말할 수 이습니다. 바울은 1~11장 에서 복음의 정의, 능력을 정의하면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합니다. 죄아래 있는 모든 사람을 예수 그리스도께서 대신 죽음심으로 해결 하심으로 그 예수님이 구주로 구원주가 되시고 새로운 생명을 주셨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생명이 성장하고 예수님을 닮아 가는 과정을 그리면서 하나님의 절대주권하에 이.. 2023. 6.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