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묵상] 불의한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 (누가복음 16장 1~13절)
작은 것에 충성된 삶, 영원한 것을 맡기시는 하나님
성경을 읽다 보면, 문득 멈춰 서게 되는 말씀들이 있어요. 아무리 다시 읽어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구절 말이에요. 오늘 새벽예배의 본문인 누가복음 16장 1~13절 말씀도 그런 본문 중 하나였는데요. “불의한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는 9절 말씀, 그리고 “불의한 재물에도 충성해야 참된 것을 맡기신다”는 11절의 말씀은, 처음 읽을 땐 조금 혼란스럽게 다가올 수 있어요.
마치 정직하지 않은 방법도 용납된다는 의미로 들릴 수도 있거든요.
하지만 이 말씀을 깊이 묵상하다 보면, 예수님께서 전하고자 하신 본질적인 메시지가 분명하게 다가옵니다. 예수님께서는 종종 ‘비유’를 통해 하늘의 진리를 알려주시는데요, 오늘 본문도 그러한 경우예요.
어느 날, 한 부자에게 청지기가 있었는데요, 그가 주인의 재산을 허투루 쓴다는 소문이 들리게 됩니다. 결국 주인은 그를 불러 회계 보고를 요구하고, 직무에서 물러나라고 명하지요. 이에 청지기는 고민에 빠져요. 이제 곧 일을 잃게 될 텐데, 내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깊은 갈등 속에서 그는 꾀를 내어요.
주인에게 빚진 사람들을 하나하나 불러, 그들의 빚을 자신이 마음대로 줄여주는 거예요. 기름 백 말은 오십으로, 밀 백 석은 팔십으로 고쳐주며 친분을 쌓으려 했죠. 나중에 도움을 청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거예요.
놀랍게도, 이 소식을 들은 주인은 그 청지기를 책망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지혜로움'을 칭찬합니다. 참 아이러니한 장면이지요. 예수님께서는 여기서 세상의 아들들이, 즉 믿지 않는 이들이 때때로 믿는 자들보다 현실적인 지혜에 더 능하다는 말씀을 하신 거예요.
그렇다면, “불의한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는 말씀이 정말로 불의한 방법을 쓰라는 의미일까요? 결코 그렇지 않아요. 여기서 말하는 '불의한 재물'은 곧 이 세상의 재물을 뜻합니다. 시간, 돈, 재산처럼 언젠가는 사라질 것들, 결국 내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것들이지요.
예수님은 이 땅에서 잠시 주어진 것, 즉 세상의 재물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하나님 나라의 더 크고 참된 것을 맡을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고 하셨어요. 세상의 기준이 아닌 하나님의 뜻에 따라 정직하고 지혜롭게 사용하는 사람에게, 하나님은 더 큰 것을 맡기시겠다는 거예요.
성경은 이렇게 말씀하죠.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된다”(눅 16:10)
여기서 말하는 ‘충성’은 단순한 성실함이 아니에요. 성경 원어를 보면 '충성'은 '믿음'과 동일한 어원을 가진 단어인데요, 이는 하나님의 말씀에 설득되어 기꺼이 순종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결국 충성은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께 삶을 맡기는 믿음의 행동인 거죠.
우리의 삶은 언젠가 하나님 앞에 결산의 날을 맞이할 거예요. 그때 우리는 말할 수 없을 거예요.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아직 못다 한 일이 있어요”라고요. 그날은 반드시 찾아오고, 우리는 하나님께서 맡기신 삶의 청지기로서 모든 것을 내려놓고 서게 될 거예요.
그래서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시간, 이 순간이 너무나 소중한 것이에요. 크고 대단한 일을 하지 못하더라도, 작은 것에 충성된 삶을 살아가야 하는 이유입니다.
돈도, 시간도, 기회도… 하나님이 주신 자원들이에요. 그 자원을 하나님의 뜻에 맞게 사용하고, 누군가를 살리고, 복음을 전하며, 사랑을 나누는 데 쓰는 것, 그 자체가 충성이고 믿음의 열매인 거죠.
기도문
주님, 이 땅의 것들을 마치 내 것처럼 움켜쥐고 살았던 저의 연약함을 용서해 주세요.
하나님께서 맡기신 것들에 충성하게 하시고,
믿음으로 살아가며, 주님 부르시는 날 “잘하였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라는 칭찬을 받게 하소서.
세상의 재물조차 주님의 뜻대로 사용하여 영원한 것을 바라보는 삶을 살아가게 하소서.
'영혼육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순절 23일째 (0) | 2025.03.27 |
---|---|
기억에 남을만한 장례식 기도문 (0) | 2025.03.27 |
사순절 22일째 묵상 (0) | 2025.03.26 |
사순절 묵상 (0) | 2025.03.26 |
은혜롭고 감동적인 구역예배 전 기도문 (0) | 2025.03.26 |
댓글